select language:ko
胃的生理功能、病理分型与药食同源调理方案

위병 변증 전해: 위기허에서 식체위완까지의 중의 조리

위: 상복부. 부숙 기능, 주로 소화, 하강이 순조로움.
총방: 복부 마사지, 뜸, 황금선, 인화귀원.
증상: (복통, 위팽만, 심장 부위에 상승하는 느낌이 있을 때, 위에 병변이 있을 수 있음) 복통, 위팽만, 신물, 삼산, 심부름, 위염, 구강 건조, 설사, 구토도 위와 관련이 있음.

일, 위의 생리 기능과 병리 핵심

1. 위의 생리 특성

  • 창린지관: 주로 음식을 받아들이고 부숙시키며, 비와 표리 관계를 맺고 소화를 공동으로 담당함(《소문·영란비전론》).
  • 하강이 순조로움: 위기는 통하강하여야 하며, 기체가 있으면 팽만하고, 역상하면 신물이 나옴.

2. 위병의 핵심 병기

  • 허실잡잡: 기허로 인한 추진력 부족(위하수), 양허로 인한 온육 부족(냉통), 음허로 인한 윤양 부족(작통).
  • 외사 침습: 한사 직중(한응위완), 음식 축체(식체위완).

이, 위계 변증 분형과 치료 방안

①, 위기허——위기 부족, 위양 부족, 위기 하강 부족

안색 위황, 신체 소모; 구토, 트림, 신물; 식욕 부진, 위완 팽만, 은통.
치료 방법: 위기 보충, 비기 보익
식이요법: 대추, 복령(비기 보익 습리), 산약, 미탕
한약: 감초, 백출, 인삼
수기: 뜸
주: 위기 허약으로 인한 위완 은통은 뜸을 사용할 수 있음

②, 위양허——위허한증(먼저 위기허를 겪고, 점차 위양허로 발전하여 허한 내생)

양허로 인해 한이 생기고, 위양 부족으로 위가 온양을 잃어 위완 냉통, 한기, 위경련, 온기와 압박을 좋아함;
위양 부족으로 위의 물을 제어하지 못해 상반되어 맑은 물을 토함;
한기를 두려워하고 사지가 차가워 뜨거운 물을 좋아함.
치료 방법: 위를 따뜻하게 하고 한기를 흩뜨림
식이요법: 생강대추탕(생강: 위를 내리고 구토를 멈춤), 생강돼지배탕.
수기: 복부 마사지, 뜸, 황금선

③, 위음허——위음 부족

주로 물 부족으로 위가 윤양을 잃어 건조해지고, 위완 작통, 배고픔에도 식욕 부진, 구강 건조, 혀 건조, 인후 건조, 대변 건조
혀: 탈태, 혀의 어디에 탈태가 있으면 그곳에 음허가 있음
치료: (감량의 것이면 음액을 보충할 수 있음) 사탕수수, 맥문동, 석곡, 오리탕, 산약, 백합
수기: 공손, 천추(천추는 두 개를 동시에 강하게 눌러야 함), 인화귀원

④, 한응위완——한사가 위를 침범하여 위양허의 연장 증상으로 주로 위양 부족에 외부 한기가 더해져 실증

주의: 옷을 얇게 입거나 배를 드러내거나 발목을 드러내는 경우 생활에서 주의해야 함
증상: 냉통, 온기와 압박을 좋아함; 구토, 맑은 물을 토함; 한기를 두려워하고 사지가 차가움.
치료: 온열(온수주머니, 온염포, 일반적으로 15-20분간 온열), 뜸
조리: 중온 한기 흩뜨림, 기통 통증 완화
혈자리: 공손혈 통증 완화, 토수 기통
식이요법: 고량강, 소회향

⑤, 식체위완——축식

원인: 폭음폭식, 식사 불규칙, 빠른 식사로 소화되지 않음. 복부 팽만, 복통
증상: 구취, 구토, 식욕 부진, 적은 양 섭취, 대변 산패 냄새, 축식으로 인한 변비는 기체가 있으며, 장부 내부의 기가 막혀 변비가 생기고 음식이 역류하여 신물, 구토
치료: 통을 우선으로 함.
총방: 내정, 공손, 토수
식이요법: 산자, 맥아, 계내금, 초삼선(위강비약의 경우 산자를 사용하지 않음; 산후 복통,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급성기에는 산자를 먹어 혈액을 흩뜨림)
약물: 수코신 캡슐(내부에 산자 성분이 포함되어 있음)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급성기에 사용 가능
수기: 척택+내관, 노궁. 노궁을 중지 끝 방향으로 문지름, 중지 외부까지 문지름.
식이요법: 산약죽, 대추연자죽(비위 보양, 설사 멈춤, 심신 안정), 조죽, 율무죽, 계원죽, 호박죽, 원두계탕
주: 쌀과 율무를 함께 끓이면 부종을 일으킬 수 있음

증형핵심 병기전형적 증상치료 원칙대표 처방/수기
위기허증비위 허약, 수용력 부족안색 위황, 트림 신물, 위완 은통중간 보익, 비위 조화사군자탕+중완혈 뜸[^사용자 메모]
위양허증양허로 인한 한기, 기기 응체위완 냉통, 온기와 압박 좋아함, 맑은 물 구토양온 한기 흩뜨림, 기통 통증 완화양부환+황금선 끌어올림[^사용자 메모]
위음허증음액 부족, 위 윤양 부족구강 건조, 식욕 부진, 대변 건조음양 보양, 화기 내림, 진액 생성익위탕+공손혈 압박[^사용자 메모]
한응위완증한사 위 침습, 기기 막힘냉통 심함, 맑은 물 토함, 한기 두려움중온 한기 흩뜨림, 기통 통증 완화부자리중환+온염포 덮음[^사용자 메모]
식체위완증식사 불규칙, 축체 소화 불량위복 팽만, 트림 산패, 변비소화 촉진, 장통 열 해소보화환+내정혈 방혈[^사용자 메모]

삼, 특색 치료법과 실습 지침

1. 수기와 혈자리 조절

  • 위기허:
    • 황금선 끌어올림: 천돌에서 구미까지 임맥을 끌어올려 위기 통하강을 강화함.
    • 족삼리 뜸: 매일 15분, 위기 보익(《침구대성》).
  • 식체위완:
    • 내정혈 방혈: 삼릉침으로 3-5방울 출혈시켜 위열을 청소함.
    • 노궁 문지름: 중지 끝 방향으로 빠르게 문지르면서 위장 운동을 촉진함.

2. 고전 처방 분석

  • 사군자탕: 인삼 보기, 백출 건피, 복령 습리, 감초 조화, 위기허 기본 처방.
  • 익위탕: 사삼, 맥문동 음양, 옥죽, 생지 위양, 설탕으로 건조를 완화함.

사, 식이요법과 일상 조절

1. 약식동원 방안

  • 위기허:
    • 산약복령죽: 산약 100g+복령 30g+징미로 죽을 끓여 비기 보익.
    • 황기대추차: 황기 10g+대추 5개로 즙을 내어 차 대신 마셔 기를 보충함.
  • 위음허:
    • 석곡맥문동 돼지고기탕: 석곡 10g+맥문동 15g+돼지고기 살코기로 끓여 음양을 보충하고 건조를 완화함.
    • 추리고: 오리+꿀로 고를 만들어 위 건조와 인후 건조를 완화함.

2. 금기와 양생

  • 식사 금기: 위한은 생냉(얼음 음료, 회)을 피하고, 위열은 매운 것(고추, 구이)을 피함.
  • 작습 제안: 진시(7-9시)에 위경이 활동하므로 아침에 공복으로 생강대추차를 마셔 위를 따뜻하게 함.

오, 현대 연구와 고전 추적

  • 《황제내경》: “음식이 과하면 장위가 상한다”——식사 절제가 위에 중요한 점을 강조함.
  • 현대 연구: 중완혈 뜸이 위 단백질 효소 활성을 높이고 소화 불량을 개선할 수 있음(《중국침구》, 2023).
  • 혀상 연관: 혀가 창백하고 백태(위기허)와 혀가 붉고 소태(위음허)의 구별 요점.

: 본 문서에 설명된 치료법은 한의사의 변증 지도 아래 시행해야 하며, 기질적 병변(위궤양, 종양 등)은 중서의학을 결합하여 치료해야 함. 처방 용량은 성인 일반 용량이며, 임상 적용 시 개인화 조정이 필요함.


카테고리:


댓글

댓글을 남겨주세요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