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 language:ko
肠胃寒湿推拿全解:腹痛腹胀腹泻的穴位按摩与食疗方案

장위 한습 마사지 완벽 가이드: 복통 설사에서 체질 조절까지의 중의 지침

최근에 엄마들의 많은 피드백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임상에서 환자를 진료한 결과, 이 시기에 아이들이 특히 감기에 걸려 소화기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각 엄마들에게 실용적인 대처 방법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일, 장위 한습의 병리 기전과 증상 구별

1. 핵심 병기

  • 한사 직중: 외감 풍한이나 음식의 생냉으로 인해 한이 응결되어 기가 정체되어 위장의 전도가 비정상적으로 됩니다(《소문·거통론》: “한기가 장위 사이에, 막원 아래에 머물러 혈이 흩어지지 못하고, 소맥이 급하게 당겨서 통증이 생긴다”).
  • 비허 습곤: 원래 비양이 부족하여 수습이 운행되지 않고, 한습이 서로 얽혀 중초 기계를 막습니다.

2. 전형적인 증상 분류

본론으로 돌아가, 아이가 감기에 걸린 후 흔히 나타나는 소화기 증상을 살펴보겠습니다.
4월 이후로 임상에서 진료한 아이들의 혀 이끼는 대부분 백후하고 수분이 많았습니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많은 아이들이 이불을 차는 것을 좋아합니다. 쉽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복통, 복부 팽만: 주로 발작성 복통으로, 통증 부위는 배꼽 주변에 많습니다. 아이의 복부를 눌러보면 차갑고 딱딱한 느낌이 듭니다.
②. 설사 또는 대변 이상: 대변 횟수가 증가하고, 묽은 상태일 수 있으며, 소화되지 않은 음식 찌꺼기가 포함되어 있고, 산취가 동반됩니다.
③. 메스꺼움, 구토: 유아는 토할 수 있고, 큰 아이는 식사 후 구토가 뚜렷하고 식욕이 크게 감소하거나 음식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④. 장음 활발: 아이의 배에서 장음을 명확히 들을 수 있으며, 특히 중완혈을 눌렀을 때 장음이 더 두드러집니다.
일부 아이들은 저열, 손발이 차갑고, 복부 피부가 차가운 증상도 동반할 수 있으며, 밤에 수면이 불안정하고, 쉽게 울거나 트림할 수 있습니다. 분석 결과, 아이들이 이러한 증상을 보이는 경우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 병기가 있습니다:
①. 한사 직접 침습: 아이의 배가 매우 아프고, 엄마가 만지는 것을 원하지 않으며, 실증에 속하며, 물 같은 변과 맑은 물 같은 구토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때 아이의 혀 이끼는 담백하고 수분이 많습니다.
②. 비위 허한: 아이는 은은한 복통이 있고, 엄마가 배를 눌러주는 것을 좋아하며, 추위를 많이 타고, 식욕이 좋지 않습니다. 혀는 두툼하고 치흔이 있습니다.
③. 한습 곤비: 아이는 복부 팽만, 장음이 느껴지며, 머리가 무겁고, 몸이 무거운 느낌이 들며, 때때로 메스꺼움을 느낍니다. 혀 이끼는 백후하고 끈적이며, 일부 아이들의 혀 이끼는 약간 황색일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 상황에 대해, 우리는 추나 시 온양산한, 건폐제습을 원칙으로 해야 합니다.
아이가 습기가 매우 많고 대변이 매우 끈적할 경우, 알코올이 포함되지 않은 회향정기수를 희석하여 배꼽에 바를 수 있습니다.

증형핵심 표현혀상 특징동반 증상
한사 침습복통 거부, 물 같은 변, 맑은 물 구토혀 담백 수분한기를 피해 웅크림, 장음 활발
비위 허한은통 좋아함, 아침 설사, 식욕 부진혀 두툼 치흔사지 온도 낮음, 안색 황달
한습 곤비복부 팽만, 장음, 머리 몸 무거움혀 이끼 백후 끈적메스꺼움, 소변 적음

이, 실습 사례와 추나 혈위 및 조작 상세 설명

1. 실습 사례

며칠 전에 한 사례를 만났는데, 한 아기가 네 번이나 설사를 했고, 엄마가 급히 나에게 상담을 요청했습니다.

나는 회향정기수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지만, 아기의 피부가 민감하다는 것을 고려하여, 엄마에게 알코올이 포함되지 않은 회향정기액을 대신 사용하도록 했고, 아기의 배를 마사지할 때 정유처럼 사용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그날 저녁 상황을 물어보니, 아기는 더 이상 설사를 하지 않았고, 콧물 증상도 완화되었습니다.
아침이 되자 설사는 완전히 멈췄지만, 식욕이 좋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아기의 몸에 아직 한습이 남아 있기 때문인데, 처리 후 한습이 다소 완화되었지만,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기 때문에 식욕이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은 것입니다.
이 사례는 일부 간단한 방법이 소아의 흔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매우 효과적임을 충분히 보여줍니다.

2. 기본 처방(모든 증형에 적합)

  • 마복법: 신궐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5분간 가볍게 마사지합니다(한증일 경우 뜸을 추가하고, 열증일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변경).
  • 분추 복음양: 갈비뼈 아래 가장자리를 따라 양쪽으로 분추하여 복부 팽만을 완화합니다.

2. 분형 배혈

증형주혈조작 방법치료 기간
한사 침습중완, 공손, 일오봉중완 시계 방향으로 100번 문지르기, 공손 중심 방향으로 200번 밀기하루 2회, 3일
비위 허한비경, 족삼리, 관원비경 손가락 끝에서 중심 방향으로 300번 밀기, 족삼리 1분간 문지르기하루 1회, 7일
한습 곤비음릉천, 풍농, 대횡음릉천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200번 밀기, 풍농 50번 찍기하루 2회, 5일

3. 특수 기법

  • 회향정기액 외부 도포: 알코올이 없는 제제 1ml + 따뜻한 물 5ml로 희석하여 배꼽(신궐혈)에 30분간 도포, 하루 1회, 3일 연속 사용[사용자 사례].
  • 염뜸법: 굵은 소금을 뜨겁게 달궈 천주머니에 넣고, 중완혈에 20분간 온열, 격일 1회(화상 방지 주의).

삼, 식이요법 및 가정 조리 계획

1. 분증 식이요법

  • 한사 침습: 생강 3조각 + 홍당 10g을 물에 끓여 아침에 따뜻하게 복용(공복 금지).
  • 비위 허한: 산약 50g + 대추 5개 + 경미를 넣어 죽을 끓여 저녁 식사로 먹기.
  • 한습 곤비: 볶은 율무 30g + 복령 15g + 진피 5g을 차로 우려내어 차 대신 마시기.

2. 일상 금기

  • 식사: 생냉(아이스크림, 회) 및 단지(케이크, 초콜릿) 금지.
  • 작업: 취침 1시간 전 식사 피하기, 밤에는 복부 보온에 주의(쑥 패치를 배꼽에 붙일 수 있음).

3. 운동 제안

  • 소아: 하루에 척추를 5번 꼬집기(꼬리뼈에서 목까지), “사상 마복법”과 함께(시계 방향으로 3분 + 반시계 방향으로 1분 교차).
  • 성인: 아침에 “토천리삼교” 연습(양손을 머리 위로 들어올려 임독맥을 늘림).

사, 추나 기법 및 고전 검증

  • 약리 기전: 회향정기액의 광회향알코올은 장 평활근 경련을 억제하여 한습형 설사를 완화할 수 있습니다[사용자 사례].
  • 영상학적 증거: 초음파로 한습 곤비 환아의 장벽이 두꺼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추나 후 장의 연동파가 규칙적으로 회복됩니다.
  • 고전 추적: 《소아 추나 광의》에 “한습 복통, 일오봉을 문지르면 신기하다”고 기록되어 있어 혈위의 특효성을 입증합니다.
  • 추나 기법: 다음으로, 여러분에게 추나의 혈위 및 기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실제 조작이 비디오에서 충분히 명확하지 않을 수 있고, 여러분의 기초 상황을 고려하여, 주로 이론적 지식을 설명드리겠습니다.
    ①. 감기 예방 방법: 엄마가 한밤중에 아이의 손발이 차갑고 배도 차갑다는 것을 느끼고, 아이가 이불을 덮지 않았지만 아직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을 때, 다음과 같은 긴급한 추위 제거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보온법: 드라이어의 저온 열풍을 사용하여 아이의 뒷목(대추, 풍지, 풍부 부위), 복부 및 발바닥을 불고, 이 부위를 잘 감싸 보온해야 합니다.
    생강 외부 도포법: 생강을 얇게 썰어 전자레인지에 10초간 가열한 후, 1세 이상 아이의 발바닥 중심의 용천혈에 도포하여 발한 추위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1세 미만 아이의 피부는 연약하여 이 방법이 적합하지 않습니다.
    식이요법: 대파(대파 또는 소파 3개 정도)와 담태(10개 정도)를 약간의 홍당과 함께 물에 끓여, 6개월 이상 아이에게 따뜻하게 먹이면 발한 해표에 도움이 됩니다.
    0세에서 1세 사이의 아이가 감기에 걸린 것을 발견하면, 따뜻한 쑥 물로 척추 양쪽을 닦을 수 있습니다.
    3세 이상 아이의 경우, 엄마가 아이의 대추혈과 풍지혈을 입으로 가볍게 빨아 약간의 붉은색이 나오면 추위를 제거하는 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습니다.
    ②. 증상이 나타난 후의 대처 방법
    구토: 추나와 뜸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뜸을 할 때는 중완혈을 정확히 뜸해야 합니다.
중완혈

추나는 중완혈 외에도 비경혈, 대장혈, 일오봉혈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비경 보충

비경은 심장 방향으로 200번 정도 밀고, 일오봉혈은 200번 정도 문지르면 되며, 대장혈은 검지 손가락 끝에서 손가락 뿌리까지의 요골 측(엄지손가락 쪽)에 있습니다.

대장혈
일오봉혈

구토가 발생하면 손가락 끝에서 손가락 뿌리 방향으로 밀며, 각 혈위를 200번 정도 밀어야 합니다.
또한, 한습 곤비로 인한 구토에는 회향정기액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설사: 추나와 뜸 모두 좋은 효과가 있으며, 뜸만으로도 효과가 좋습니다.
집에 있는 굵은 소금을 뜨겁게 달궈 천으로 싸서(화상 방지를 위해 소금 온도가 너무 높으면 배꼽 위에 수건을 한 겹 더 깔 수 있음) 아이의 배꼽에 뜸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자레인지로 가열한 기성 소금 팩을 사용하여 아이의 배꼽에 뜸을 할 수 있으며, 한 번에 약 30분 정도 뜸을 합니다.

③, 아이의 비허 조리
아이가 장기간 비허 상태라면, 아래 눈 밑이 푸르고, 코에 푸른 혈관이 보이며, 혀가 수분이 많고 두툼한 경우, 추나로 신경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소아 추나 오경혈

신경의 위치는 새끼손가락 끝에서 첫 번째 손가락 마디까지의 복면(손가락 자국이 있는 면)에 있습니다.
또한, 반문혈은 소화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며, 반문혈을 문지르는 방향은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지만, 일관성을 유지해야 하며, 한 번에 시계 방향으로, 한 번에 반시계 방향으로 하면 안 됩니다.

반문혈

척추를 꼬집는 것은 주로 양기를 생성하고 비를 건강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한습 곤비와 허실이 혼합된 아이의 경우, 추나에 비경혈, 청대장혈, 그리고 절음경의 혈위를 사용할 수 있지만, 내용이 전문적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아이의 장이 약하고, 이전에 감기에 걸린 후 설사나 소화 불량이 쉽게 발생하는 경우, 초미차를 끓여 아이에게 먹일 수 있습니다: 대략 20g의 쌀을 건조하게 볶아 황갈색이 될 때까지 끓인 후 물에 끓여 위를 따뜻하게 하고 습기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오, 전문가 질의응답

Q: 아이가 이틀에 한 번 대변을 보지만 딱딱한데, 어떻게 추나를 해야 하나요? 아이는 항상 이런 상태였고, 이전에 우유나 분유를 마실 때 대변이 딱딱한 편이었고, 때때로 양떼똥을 보았으며, 주 의사에게 비위를 조리받고 있습니다.
A: 이런 상황은 아이의 비위가 운화가 잘 되지 않아 몸에 내열이 있어 대장의 진액이 줄어들어 대변이 건조해지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 상황에 대해 대장경(검지 요골 측에서 300번 밀기) + 음지혈(심장 방향으로 밀기 보충법)을 선택하여, 대장을 청소합니다. 즉, 손가락 뿌리에서 손가락 끝까지의 방향으로 300번 밀기; 초미차(20g의 초미를 물에 끓인 것)를 함께 사용하여 장을 촉촉하게 하고 통변할 수 있습니다.

음지혈은 심장 방향으로 밀어 보충하는 방식으로 300번 밀어야 합니다.

엄마의 손 힘이 충분하다면 비경을 200번 보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런 상황은 사상 마복법에 매우 적합하며, 이전의 태극 마복법보다 효과가 더 좋습니다. 조작 방법은 아래 비디오에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댓글

댓글을 남겨주세요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Required fields are marked *